1. 부정맥
가지런하지 않은 맥박이라고 직역할 수 있습니다. 불규칙한 맥박, 비정상 박동, 비정상 율동 등 이것들을 알 수 있는 방법은 심전도 검사가 있는데 심장 맥박이 뛰는 현상을 보여주는 객관적 증명 방법입니다. 맥박수를 보고 판단할 수 있는데 정상 간격은 60~100회/분입니다. 정상에서 벗어나는 모든 것을 부정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심장마비도 부정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부정맥 치료
원인 질환 치료 (빈혈, 갑상선이상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촉발 원인 제거 또는 회피, 예방 - 술 을 많이 먹거나 잠을 제대로 못 자는 경우가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이런 원인들을 제거하는 것이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전기적 치료 - 전극도자 절제술, 삽입형 장치 를 통해 치료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심방세동 조기 발견이 중요한 이유
심방세동 이란 가장 흔한 부정맥 인데 심방에 형성된 여러 개의 회귀 회로나 폐정맥 심방 일부 조직에서 만들어진 매우 빠른 자극에 의해서 심방이 분당 350 ~ 600회로 매우 빠르고 불규칙하게 뛰는 병입니다. 심장세동에 의한 심장 내 혈전이 생성되고 심장 내 혈전이 떨어져 나가서 뇌동맥을 막고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뇌경색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심장 수축력이 크게 감소하거나 이완되지 못하는 병 심부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조기에 발견해서 치료하면 큰 병을 막을 수가 있습니다.
3. 심장을 위한 생활습관
심장에 관련된 질병은 정말 많습니다. 협심증, 심근경색증, 뇌졸중, 부정맥 등 이것들의 원인은 동맥경화증인데 어떤 심장병이든 생활습관 관리는 똑같습니다. 어떻게하면 심장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한 심장을 가지고 생활할 수 있는 생활습관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동맥경화증 : 혈관에 기름기나 혈전이 끼어서 혈관벽이 두꺼워지고 혈관 내부가 좁아지거나 막히는 경우, 뇌혈관이 막히면 뇌졸중(중풍), 심장혈관인 관상동맥이 막히면 협심증, 심근경색증입니다. 혈액에 기름기가 끼면 끈적끈적 해지는데 혈관이 지나가는 모든 곳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이것들로 인해서 뇌혈관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뇌경색은 혈관이 막히는 것이고 뇌출혈은 혈관이 터지는 것입니다.
심장질환의 위험인자들이 있는데 조절 가능한 위험인자와 조절 불가능한 위험인자가 있습니다.
조절 가능한 위험인자 - 흡연,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경쟁적인 성격 등
조절 불가능한 위험인자 - 남성, 노령화, 동맥경화증의 가족력
건강한 혈관, 심장을 위해서는 건강한 식습관이 가장 중요합니다.
조리법 - 볶음, 튀김보다는 굽거나 찌는 것을 먹는 게 좋습니다. 튀긴 음식은 칼로리가 굉장히 높고 기름기가 많아서 혈관건강에 굉장히 좋지 않습니다.
고기 - 지방이 많은 고기보다는 살코기가 많은 고기를 먹는 것이 심장 건강에 좋습니다.
해산물 - 오징어, 새우는 콜레스테롤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런 것들은 적게 드시는 게 좋고 되도록 고등어같은 등푸른 생선을 챙겨 드시는게 좋습니다.
탕류 - 알탕, 곰탕 같은 경우는 칼로리와 콜레스테롤이 높으므로 즐겨 드시지 말고 가끔 드시는 게 좋습니다.
야식 - 견과류 같은 경우 콜레스테롤을 낮 쳐주고 좋은 음식이지만 칼로리가 굉장히 높으므로 야식으로는 피하는 게 좋습니다. 아침이나 낮에 조금씩 섭취하는 게 좋습니다.
음주 - 적절한 음주가 필요합니다. 현재 나와있는 술잔들은 술 종류에 따라 1잔에 알코올 10~12g 정도 들어가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고로 어떤 종류던지 하루에 3잔 이상 넘게 섭취하면 심장질환에도 좋지 않고 간에도 좋지 않습니다. 술을 되도록 마시지 않되 한잔 내지 두 잔 정도만 마시는 게 좋습니다.
흡연 - 흡연은 동맥경화증의 가장 강력한 위험인자입니다.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고 악화시키므로 담배는 절대적으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접흡연을 당하는 사람도 악영향을 끼치니 주변 사람, 아이들에게도 위험하니 금연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카페인 - 커피는 우리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료입니다. 카페인이 부정맥 악화에 영양을 끼친다는 직접적인 근거는 없으므로 괜찮습니다.
체중조절 -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체질량 지수 = 몸무게 / 키) WHO 기준 체질량지수가 30 이상이면 비만, 25 이상이면 과체중입니다. 과체중 이거나 비만일 경우에 부정맥 빈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체중조절은 필수입니다. 만병의 근원으로 알려져 있는 비만은 우리가 조절 가능한 위험인자 이기 때문에 해결해야 합니다.
'건강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의해야할 생활화학제품 (0) | 2022.10.18 |
---|---|
콩팥(신장)이 좋지 않으면 생기는 일 (0) | 2022.10.18 |
알코올성 지방간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0) | 2022.10.17 |
건강기능식품 바로 알기 (0) | 2022.10.14 |
근육건강을 지키는 단백질 섭취와 운동의 중요성 (0) | 2022.10.14 |
댓글